HTTP란?

 HTTP란, Hypertext Transfer Protocol의 약자로 인터넷에서 웹 서버와 웹 사용자(인터넷 브라우저) 사이에 문서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통신 규약을 말합니다.


HTTP의 특징

  1.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응용 프로토콜
    TCP/IP란, 네트워크와 네트워크를 연결하기 위한 프로토콜로서 서로 다른 운영체제의 컴퓨터 간에도 같은 TCP/IP 프로토콜을 사용함으로써, 네트워크 통신이 가능하게 합니다.

  2. 연결 상태를 유지하지 않음
    실시간으로 항상 연결을 유지하는 것이 아닌, 웹 클라이언트의 요청이 들어왔을 때만 네트워크를 연결하여 응답을 보내는 프로토콜 입니다.

  3. 요청(Request) / 응답(Response) 방식의 통신
    서버가 먼저 웹 클라이언트에게 데이터를 보내는 것이 아닌, 웹 클라이언트가 요청(Request)을 해야만 서버에서 응답(Response)하는 방식의 통신을 합니다.


HTTP Method

HTTP 통신에 사용되는 메소드로는 HEAD, GET, POST, PUT, DELETE, OPTIONS, TRACE, CONNECT이 있습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주로 사용하는 GET, POST, PUT, DELETE만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Method

설명 

 GET

  서버에 요청할 데이터를 URL(URI)에 담아서 보내는 형식

 POST

  서버에 요청할 데이터를 HTTP의 Body에 담아 보내는 형식 

 PUT

  DB에 있는 기존의 데이터를 수정(업데이트)하기 위해 사용하는 메소드(POST와 같이 Body에 데이터를 담아 보냄)

DELETE

  DB에 있는 기존의 데이터를 삭제하기 위해  사용하는 메소드(POST와 같이 Body에 데이터를 담아 보냄)



HTTP 응답코드

가끔 웹으로 어딘가를 접속하려고 할 때 "404 Not Found" 페이지가 뜨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여기서 404는 HTTP 응답 코드의 하나로서 요청한 페이지가 없을 경우 표시되는 코드입니다. 자주 사용하는 HTTP코드에 대해서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응답코드

설명 

 200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서버가 성공적으로 응답함

 201

  PUT 메소드에 의해 서버에 성공적으로 데이터가 업데이트 됨

 401

  인증이 필요한 페이지를 요청함

403

  관리자에 의해 페이지 접근이 금지됨

 404

  요청한 페이지를 찾을 수가 없음

 404

  요청한 동작에 대해 서버가 수행 할 수 없는 경우


Node.js를 공부하다보면 비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인 Mongo DB를 꼭 한 번은 접하게 됩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Amazon Linux 2 AMI에 Mongo DB를 설치하는 방법을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저는 AWS EC2 인스턴스로 Linux 2 AMI을 사용하고 있지만, 다른 환경의 Linux 2에서도 설치 방법이 모두 동일합니다~



Linux 2에 MongoDB 설치하기

1. MongoDB가 이미 설치 되어있는지 확인하기

이미 MongoDB가 설치되어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아래의 MongoDB의 버젼을 확인하는 명령어를 통해 사전 체크를 합니다.
mongod --version


2. 유저를 root로 변경

MongoDB 레퍼지토리 파일을 만들기 위해 유저를 root로 변경해 줍니다. 
sudo su


3. Pacakge Management System에 MongoDB 레퍼지토리 파일 만들기

Linux 2의 yum 명령어를 통해 MongoDB를 바로 설치하기 위해서는 먼저 MongoDB 설치 정보를 담고 있는 레퍼지토리를 만들어야 합니다. 아래의 경로와 이름으로 .repo 파일을 만들어 줍니다.
- File Path: /etc/yum.repos.d/mongodb-org-4.0.repo
vi /etc/yum.repos.d/mongodb-org-4.0.repo


mongodb-org-4.0.repo 파일을 vi 편집기로 열었다면 아래의 코드를 그대로 작성해 주시길 바랍니다.

[mongodb-org-4.0]
name=MongoDB Repository
baseurl=https://repo.mongodb.org/yum/amazon/2/mongodb-org/4.0/x86_64/
gpgcheck=1
enabled=1
gpgkey=https://www.mongodb.org/static/pgp/server-4.0.asc



4. MongoDB 설치

정상적으로 MongoDB 레퍼지토리를 만들었다면 sudo yum install -y mongodb-org 명령어를 통해 설치가 진행됩니다.
sudo yum install -y mongodb-org

만약에 위의 명령어를 통해서 설치가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레퍼지토리 파일에 오타가 있을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안 될 경우, 레퍼지토리 파일을 다시 체크해주시길 바랍니다. 모든게 완벽하다면 아래와 같이 설치 화면이 나타납니다.






구글이나 네이버에 들어갈 때 웹 페이지에서 하이퍼링크를 클릭해서 들어가기도 하지만, 주소창에 구글 URL(https://www.google.co.kr)을 직접 입력하여 들어가기도 합니다다. 이렇게 인터넷 상의 모든 사이트에는 URL이란 것이 사용되고 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항상 사용해서 익숙하지만 잘 신경쓰지 않았던 URL에 대해서 다뤄보도록 하겠다.


1. URL이란?

URL이란, Uniform Resource Locator의 약자로 직역하면 자원 위치 지정자 표준이 된다. 주소 문자열이라고도 하며 네트워크 상에서 자원이 어디 있는지를 알려주기 위한 규약을 URL이라고 한다.


URL(Uniform Resource Locator): 네트워크 상에서 자원이 어디 있는지를 알려주기 위한 규약




2. URL의 구성 요소

URL은 크게 Protocol, Host, Query, Path 라는 4개의 요소로 구성되어 있다. 구글에 '코딩하는 토끼'라는 문장을 검색한 URL을 한 번 자세히 들여다 보자.


 구분

설명 

 Protocol

 어떤 통신 규약을 따라 통신을 하는지를 나타냄

Host 

 정보를 가져오는 사이트 이름(혹은 컴퓨터의 위치)

Query

 어떤 작업(검색, 수정, 업로드 등)을 수행할 것인지에 대한 정보

 Path

 접근하려고 하는 파일의 경로




+ Recent posts